🌕 추석음식 종류모음과 레시피
민족 최대의 명절 추석은 음력 8월 15일로, ‘가위’, ‘한가위’, ‘중추절’, ‘가배일’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립니다. 가을의 풍성한 수확을 기념하며 햇곡식과 햇과일을 조상님께 올리고, 가족과 함께 나누는 날이기도 하지요. 오늘은 『추석음식 종류와 각각의 레시피』라는 주제로, 대표적인 추석음식 종류모음과 요리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.
📜 추석의 유래
추석은 중추절이라고도 부릅니다. <삼국사기>에 따르면 신라 제3대 유리이사금 때, 두 왕녀가 각 부의 여인들과 함께 길쌈을 겨루었고, 그 결과를 음력 8월 15일에 발표하며 승패에 따라 음식을 나누고 노래와 춤을 즐겼다고 합니다. 이 전통이 오늘날 추석의 뿌리가 되었지요.
🍴 추석음식메뉴 10선
민족의 대명절 추석은 음력 8월 15일, ‘한가위’라고도 불리며 햇곡식과 햇과일로 풍성하게 차려지는 날입니다. 조상님께 감사의 마음을 담아 차례를 지내고, 온 가족이 모여 정성껏 만든 추석음식을 나누며 화목을 다지는 뜻깊은 시간이기도 하지요.
오늘은 추석을 대표하는 10가지 음식과 함께, 실제 레시피(재료와 만드는 법) 를 그대로 정리해 드립니다. 한가위를 준비하는 분들도 이 글을 참고해 풍성한 명절 밥상을 차려보시길 바랍니다.
1.🥟 송편 만드는 법
‘송편’은 그해 수확한 햇곡식을 빚어 만드는 떡으로 추석 명절을 대표하는 우리의 전통음식입니다.
[재료] 멥쌀가루 500g, 소금, 소(햇녹두, 거피팥, 콩, 깨, 설탕)
[만드는 법]
① 멥쌀가루를 500g에 소금(5g)을 조금 넣은 후 뜨거운 물 약 200cc를 넣어 반죽해 10분 정도 상온에 놓아둔다.
② 소로 들어갈 참깨와 콩은 볶아서 간 후 100g 기준으로 설탕 50g, 꿀 30g, 물 1큰술을 넣고 하루 정도 냉장고에서 숙성시킨다. 콩 고유의 식감을 그대로 느끼고 싶으면 콩을 하루 동안 불린 후 15분 동안 삶아 설탕, 소금을 조금 넣으면 된다.
③ 준비한 반죽은 밤알 크기만큼 떼어낸 다음 콩과 참깨 소를 넣고 빚는다. 솔잎을 깐 찜통에서 20∼25분 정도 찐 후 흐르는 물에 씻어 물기를 빼고 참기름을 발라서 그릇에 담아낸다.
2.🥘 녹두전 만드는 법
‘전’은 지역에 따라 전 종류에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실파와 버섯, 육류 등을 꼬치에 꽂아 부쳐내는 누름전과 생선전 등이 대표적인 추석 전 종류로 꼽힙니다. 추석을 대표하는 전으로는 녹두전이 있습니다.
[재료] 거피녹두 80g, 찹쌀가루 15g, 돼지고기 60g, 숙주 60g, 배추김치 60g, 대파 5g, 풋고추 1개, 붉은 고추 1개, 식용유 4큰술, 소금 약간
고기양념(간장 1/2작은술, 참기름 1/4작은술, 다진마늘 1/2작은술, 생강즙 1/3작은술, 후춧가루 약간)
숙주양념(참기름 1/4작은술, 소금 1/2작은술)
김치양념(다진마늘 1/3작은술, 깨소금 1/4작은술, 참기름 1/4작은술)
[만드는 법]
① 거피녹두는 물에 하룻밤(약 8시간) 정도 불려 분쇄기에 넣고 갈아서 볼에 담는다. 대파는 0.5cm 길이로 송송 썰고, 풋고추와 붉은 고추는 0.3cm로 어슷하게 썰어서 준비한다.
② 끓는 소금(1/4작은술)물에 숙주가 살짝 숨이 죽을 정도로 데쳐서 찬물에 헹군 후 물기를 빼고, 3cm 길이로 썰어서 숙주양념을 넣고 무친다.
③ 돼지고기는 다진 고기로 준비해서 고기양념에 무쳐두고, 배추김치는 속을 털어낸 후 물기를 빼고 1cm 길이로 썰어준다. 여기에 김치양념을 넣고 잘 섞어준다.
④ ①의 간 녹두에 찹쌀가루, 양념한 숙주, 돼지고기, 배추김치, 대파를 넣고 잘 섞어준다.
⑤ 팬에 식용유를 두르고 뜨거워지면 ④의 반죽을 둥글게 편다. 여기에 붉은 고추와 풋고추를 반죽 위에 놓고 노릇하게 지져 낸다.
3.🍲 토란국 만드는 법
토란국은 우리 조상들의 지혜가 돋보이는 메뉴입니다. 맑은 국물에 담백한 맛이 일품이지요.
[재료] 토란 200g, 소고기(양지) 400g, 무 180g, 국간장 1큰술, 물 1,600ml, 소금 적당량, 달걀 1개, 다진 마늘 1큰술, 대파 1/3 대 15g, 토란대(삶은거) 50g, 감자 75g, 다시마 5g
[만드는 법]
① 토란을 구입하면 장갑을 착용하고 흐르는 물에 씻어주고, 칼로 껍질을 살살 벗겨 줍니다. 깨끗이 씻은 감자는 납작 썰고 토란대는 한입크기로 썰어 줍니다.
② 껍질을 벗긴 토란은 쌀뜨물에 10분정도 담가두었다가 끓는 물에 소금을 약간 넣고 살짝 삶아줍니다.
③ 소고기는 30분정도 찬물에 담가 핏물을 제거합니다.
④ 이후 물 1,600 ml을 냄비에 넣고 끓으면 핏물을 뺀 소고기와 다시마, 납작하게 썬 무를 넣고 센 불에서 끓여주다가 국물이 끓으면 무와 다시마는 건져내고 잠깐 더 끓여 줍니다.
⑤ 소고기가 푹 익으면 건져내어 식혀서 먹기 좋게 찢어두고 국물은 면보에 걸러서 냄비에 넣고 끓여 줍니다.
⑥ 국물이 끓으면 무와 소고기, 토란, 감자, 토란대를 넣고 5분정도 센 불에서 끓이다가 국간장을 1큰술 넣어줍니다. 간장을 너무 많이 넣으면 국물이 탁해 보이니 1큰술 정도만 넣어주고 나머지 간은 소금으로 맞춰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.
⑦ 불은 중약불로 낮춰주고 다진 마늘과 어슷 썬 파를 넣어주고 10분 정도 더 끓여주고 불을 꺼주시면 맛있는 토란국이 완성됩니다.
4.🍜 잡채 만드는 법
명절 잔치상에 빠지지 않는 잡채는 당면과 고기, 채소가 어우러져 맛과 색감이 뛰어납니다.
[재료] 당면 200g, 양파 2개(중), 파프리카 1~2개(빨강), 소고기 100g, 시금치 1단, 목이버섯 4개, 당근 70g, 참기름 1큰술, 통깨 1큰술, 식용유 적당량, 소금 약간
시금치 양념(참기름 1큰술, 다진마늘 1작은술, 소금 약간, 깨 약간)
소고기 양념(간장 1큰술, 설탕 1/2큰술, 다진 마늘 1작은술, 참기름 1작은술, 후춧가루)
당면 양념(식용유 2큰술, 간장 4큰술, 설탕 2큰술)
[만드는 법]
① 당면은 찬물에 1시간 정도 불려줍니다. 채 썬 소고기는 소고기 양념에 버무린 후 30분 정도 재웁니다.
② 시금치는 끓는 물에 소금을 약간 넣어 살짝만 데쳐 찬물에 헹궈 물기를 꼭 짠 후 참기름 1큰술, 다진 마늘 1작은술, 소금 약간, 깨 약간을 넣고 무칩니다.
③ 당근, 양파, 파프리카, 목이버섯은 가늘게 채 썹니다. (50.20.2cm) 달군 팬에 식용유를 두르고 준비한 채소를 소금 약간과 함께 볶아 접시에 펼쳐서 식혀줍니다. 양념을 한 소고기는 달군 팬에 볶아줍니다.
④ 프라이팬에 식용유 2큰술, 간장 4큰술, 설탕 2큰술과 당면을 넣고 양념이 졸아들 때까지 볶습니다.
⑤ ④에 당근, 양파, 파프리카, 목이버섯, 소고기, 시금치를 함께 넣고 볶은 후 참깨 1큰술과 통깨 1큰술 넣고 잘 섞어주면 맛있는 잡채가 완성됩니다.
5.🍖 소갈비찜
[재료] (4인분 기준)
- 소갈비 1kg
- 감자 2개
- 당근 1개
- 양파 1개
- 대파 1대
양념장
- 간장 6큰술
- 설탕 2큰술 (또는 올리고당 1큰술)
- 다진 마늘 1큰술
- 참기름 1큰술
- 후춧가루 약간
[만드는 법]
- 갈비 손질
- 갈비는 찬물에 1시간 정도 담가 핏물을 뺀 후, 끓는 물에 살짝 데쳐 건집니다.
- 재료 준비
- 감자·당근은 큼직하게 썰고, 양파·대파도 썰어둡니다.
- 양념장 만들기
- 간장, 설탕, 마늘, 참기름, 후춧가루를 섞어 양념장을 준비합니다.
- 끓이기
- 냄비에 갈비와 물(재료가 잠길 정도), 양념장을 넣고 센 불에 끓이다가 중불로 줄여 30분 정도 끓입니다.
- 채소 넣기
- 감자, 당근, 양파를 넣고 15분 정도 더 끓입니다.
- 마지막에 대파를 넣어 한소끔 끓이면 완성!
6.🍬 유과
유과는...사서 드세요. ㅎ튀기려면 난리 남.
7.🌿 삼색나물
[재료]
도라지나물 : 도라지 236g, 참기름 2큰술, 다진 마늘 1작은술, 다진 파 1큰술, 물 100ml, 소금 1작은술
시금치나물 : 시금치 280g, 참기름 1큰술, 깨소금, 다진마늘 1작은술, 다진파 1큰술, 소금 약간
고사리나물 : 고사리 200g, 들기름 2작은술, 간장 2큰술, 물, 다진마늘 1작은술, 다진파 1큰술
[만드는 법]
① 도라지는 소금을 넣고 여러 번 주물러 씻어 쓴맛 제거 후 데쳐 볶는다.
② 시금치는 데쳐 물기를 짜고 양념해 무친다.
③ 고사리는 삶아 들기름·간장·물로 자작하게 졸여 마늘·파 넣어 마무리한다.
8.🍵 식혜
[재료] 엿기름 400g, 물 3,000ml, 설탕 400ml, 멥쌀 2컵, 생강 20g(편), 불린 쌀 2컵
[만드는 법]
① 엿기름은 물 1,000ml에 3시간 정도 불린 후, 두 손으로 비벼 하얗게 우려낸다.
② 삼베주머니에 넣어 짜내고, 윗물만 사용한다.
③ 불린 쌀 2컵으로 밥을 지어 엿기름물에 넣고 보온으로 5~7시간 둔다.
④ 밥알이 뜨면 국물과 분리해 설탕·생강 넣고 끓인다.
⑤ 차게 식힌 국물에 밥알을 넣어 낸다.
9.🍯 약밥
[재료] (4인분 기준)
- 찹쌀 3컵 (4시간 이상 불린 것)
- 밤 6개 (껍질 벗긴 것)
- 대추 6개 (씨 제거)
- 건포도 2큰술 (선택)
양념
- 간장 3큰술
- 꿀 또는 올리고당 3큰술
- 설탕 2큰술
- 참기름 1큰술
- 계핏가루 약간 (선택)
[만드는 법]
- 찹쌀 준비
- 찹쌀을 깨끗이 씻어 4시간 이상 불린 뒤 체에 밭쳐 물기를 뺍니다.
- 양념 만들기
- 간장, 꿀, 설탕, 참기름을 섞어 양념장을 만듭니다.
- 재료 섞기
- 전기밥솥 안에 찹쌀, 양념장, 밤, 대추, 건포도를 넣고 가볍게 섞습니다.
- 물은 찹쌀 양의 80% 정도만 넣어주세요. (찹쌀밥은 물이 적어야 고슬고슬하게 됩니다.)
- 밥 짓기
- 전기밥솥 ‘잡곡밥’ 또는 ‘찜’ 모드로 밥을 짓습니다.
- 마무리
- 완성된 약밥을 잘 저어 고루 섞은 후, 그릇에 담아 먹기 좋게 썰어냅니다.
10.🍎 제철과일
사과, 배, 감 등 제철 과일은 차례상과 간식 모두에 올라갑니다. 사과는 섬유질, 배는 기관지 건강, 감은 비타민 C가 풍부합니다.
⚠️ 추석음식 섭취 시 주의사항
추석에 자주 먹는 송편은 칼로리가 높아 과식하면 체중 증가와 소화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 당뇨 환자는 탄수화물 섭취량을 조절해야 하며, 신장 질환자는 콩·팥 소 대신 깨 소를 넣은 송편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. 건강도 챙기면서 즐겁게 음식을 나누는 것이 명절의 참된 의미겠지요.
🎉 마무리하며
올해 추석에도 추석음식메뉴를 정성껏 준비해 가족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보시길 바랍니다. 송편을 빚고 전을 부치며 나누는 이야기, 따뜻한 토란국 한 그릇에 담긴 정성이 여러분의 한가위를 더욱 특별하게 만들어 줄 것입니다.
'주방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콩나물 무침 맛있게 만드는법 (0) | 2025.09.19 |
---|---|
순두부찌개 맛있게 끓이는법, 10분 간단 레시피 (0) | 2025.09.19 |
무화과 잼 만들기 (0) | 2025.09.17 |
무화과 냉동보관법과 해동 후 먹는법 (0) | 2025.09.17 |
무화과 보관방법과 맛있는 레시피 (0) | 2025.09.17 |